본문 바로가기

배관 표준화2

배관의 표준화 2(ASTM, API) 앞 글(https://adventures-of-royce.tistory.com/13)에 이어서 추가적으로 배관 관련 표준화 기구를 알아보겠다. 3) ASTM (https://www.astm.org/)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의 약자로 자재에 들어가는 금속, 섬유 등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사양, 제품의 분류 등에 대한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다. - 표준의 유형으로는 시험방법표준(품질, 재료의 속성을 규명, 측정, 평가), 시방표준(재료, 제품이 만족해야 하는 요건), 절차표준(제품을 활용함에 있어 조작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 용어표준(용어에 대한 정의와 특성), 지침표준(선택 사항 또는 지침에 대한 표준) 그리고 분류표준(원자재, 속성 등을 .. 2022. 3. 3.
배관의 표준화 1(표준화의 목적과 효과, ISO, ASME) 앞서 배관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유체를 이동할 수 있게끔 하는 연결 장치이다. 하지만 상황마다 다른 재질, 사이즈, 두께의 배관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표준화해서 쉽게 분류하고 이해할 필요성이 생겼다. 같은 파이프를 원하는데 각자 다른 단위를 얘기하면 소통에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표준화란 규격에 대한 기준을 만들어 사용함으로써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1. 표준화의 목적과 효과 표준화의 목적으로 아래에 몇 가지를 꼽아봤다 - 제품 및 업무의 단순화/호환성 향상 - 같은 업무를 하는 종사자들 간의 효과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텅 - 안전/환경 보호 종합해보자면 결국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업무 효율화를 목적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런.. 2022. 3.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