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7일 Bloomberg>
1) 파월 연준 의장, 끈질긴 인플레이션에 금리 인하 지연 시사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의 인플레이션 지표가 금리를 낮추기 위해 필요한 확신을 갖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언급. 그는 올해 들어 인플레이션의 추가 진전이 부족하다며, 만일 물가 압력이 지속될 경우 연준은 “필요한 만큼 오랫동안” 금리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고 밝혔음. 매파적으로 돌아선 그의 메시지는 당장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연준의 생각을 보여준 것으로, 만일 금리를 내려야 한다면 올해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이 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
->후후 그냥 차라리 올리는게 나을지도
2) 제퍼슨 연준 부의장, ‘인플레 지속시 금리 보다 장기간 높게 유지’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현 수준의 금리에서 인플레이션이 계속 둔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만일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경우 기준금리를 더 오랫동안 높게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 그는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데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지속적으로 2% 물가 안정 목표를 회복하려는 연준의 임무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진단. 단기적으로 금리 인하가 시급하지 않다는 여러 연준 위원들의 견해를 지지한 셈
3) 달러 강세 충격. 작년 10월 고점 시도 주목
중동 긴장에 유가 등 원자재 상품 가격이 요동치고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감에 따라 일각에선 달러 강세가 자칫 미국 외 지역의 금융 시스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기 시작. T. Rowe Price Group의 Quentin Fitzsimmons는 달러가 “지금 이 시점에서 강해지고 있다”며 미국의 경제지표가 계속 좋을 경우 다시 고금리 장기화 주장이 강화되어 전 세계적으로 금융 여건이 타이트해질 수 있다고 지적. Manulife Investment Management의 Nathan Thooft는 “달러 강세가 지속되거나 더 악화될 것이라는 점이 가장 큰 걱정거리 중 하나”라면서, “결국 연준도 통화정책 완화에 동참해야 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달러 강세가 미국과 전 세계 경제에 훨씬 더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
->고금리가 지속되면 생각보다 세계 경제가 악화될 것.. 투자 위축에 고금리 대출이나 차입한 사람/법인은 힘들어질듯..
4) 엘-에리언 ‘강달러·美고금리, 세계가 얼어붙었다’
월가의 저명한 경제학자인 모하메드 엘-에리언은 전세계 정책당국이 급등하는 달러와 높은 미국 금리에 맞서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진단. 그는 전 세계적으로 당국자들이 전반적인 달러 강세와 미국 금리 상승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다소 얼어붙었다”며, 과거에 달러와 미국 금리가 “너무 멀리 갔을 때 불행하게도 어디선가 무너지곤 했다”고 지적. 이같은 무기력의 대표적 사례로 최근 달러-엔 환율이 154선을 뚫고 급등했음에도 일본 외환당국이 아직까지 구두경고에 그치고 있는 점을 지적. 그는 세계 경제도 회복 탄력성을 보였지만 “현재 성장 엔진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불평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며, “우리는 정책뿐만 아니라 결과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게 될 것”이라고 전망. 부채가 “지속 불가능한” 국가나 일부 지역은행 등 대차대조표가 불균형적인 분야의 경우 보다 타이트한 금융 여건의 충격에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다고 덧붙였음
-> 만약에 강달러로 무너질만한 나라가... 어디일까... 우리도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음
5) 라가르드 ECB 총재, ‘큰 충격 없으면 금리 내릴 준비’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유로존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지속되는 한 금리 인하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밝혔음. 현재 디스플레이션 과정이 ECB 예상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2025년 중반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로 안정시켜야 한다고 강조. “만약 상황 전개에 큰 충격이 없다면 우리는 현재의 제약적 통화 정책을 완화해야 하는 순간을 향해 가고 있다”며, 구체적 설명 없이 “합리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그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언급
-> 과연?
'투자 정보 > 원자재 & 시장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9일 시장 관련 블룸버스 뉴스 핵심 요약 (2) | 2024.04.19 |
---|---|
4월 18일 시장 관련 블룸버그 뉴스 핵심 요약 (2) | 2024.04.18 |
4월 16일 시장 관련 블룸버그 뉴스 핵심 요약 (0) | 2024.04.16 |
4월 12일 시장 관련 블룸버그 뉴스 핵심 요약 (0) | 2024.04.15 |
4월 8일 시장 관련 블룸버그 뉴스 핵심 요약 (0) | 2024.04.08 |